분류 전체보기81 피츠버그대학 골드스타인 교수의 교육철학 교수들은 박사과정까지 오랜 기간 가르침을 받아왔어도, 가르치는 것에 대한 것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직접 배워보지 못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물론, 공부하는 동안, 많은 교수들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간접적으로 학습을 하고, TA나 시간강사라는 실전(?)을 통해서 일부 배우기는 합니다. 또 교수를 뽑을 때도 가르치는 능력보다는 연구 업적을 중요하게 보다 보니, 박사과정 중에 대부분의 시간을 주로 어떻게 좋은 논문을 쓸까, 어떻게 연구를 잘 할까 에만 골몰합니다. 그러다가 공부를 마치고 교수가 되면 처음에는 가르치는 일이 낯설고 어설프기만 합니다. 교수가 되어서도 비슷한 여건은 계속됩니다. 교수들은 평가를 받지만, teaching이나 봉사에 대한 평가보다는 '연구'에 대한 평가가 승진이나 승급에 결정.. 2008. 11. 25. 라이프 사이클 분석을 통한 사회적 네트워크 채널로써 개인 블로그의 활용화 요인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지원하는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단독연구)'에 선정되어 2008년 11월 1일 ~ 2009년 10월 30일까지 ' 라이프 사이클 분석을 통한 사회적 네트워크 채널로써의 개인 블로그 활성화 요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일종인 블로그의 생성, 성장, 종료에 이르는 동안 발생하는 사건을 분석(본 연구에서는 이를 '라이프 사이클 분석'이라고 칭함)하여 블로그의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라이프사이클 분석에 포함되는 블로그 내의 사건들로는 게시물 등록, 게시물의 조회, 댓글의 추가, 이웃의 추가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 사건들을 웹 크롤링 기술을 통해서 해당 블로그로부터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블로그 별로 시간.. 2008. 11. 13. Cisco 가상 마감(Virtual Close) 사례 관련 자료 안녕하세요. DSS 교재의 9장 BPM(Busines Performance Management)에서 가상 마감에 대한 Cisco 사례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회계 장부를 신속하게 마감하는 것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필요한 것이겠지요. 가상 마감에 대한 관련 자료가 있어서 연결해놓습니다. 처음 것은 Harvard Business Review에 2001년에 당시 Cisco CFO Larry Cater가 기고했던 Best Practice에 대한 짧은 글입니다. 좀 유통기한(?)이 경과한 이야기지만 참고가 될 것 같아서 연결해놓습니다. Larry Carter, Cisco's Virutal Close,HBR, April, 2001 http://www.hbsp.harvard.edu/hbsp/h.. 2008. 11. 11. The Rise of the Rest 2008년 5월에 Newsweek에 실렸던 기사 'The Rise of the Rest'에 대한 기사입니다. 최근의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로,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주가와 환율을 보면서 격변기에 살고있다는 것을 새록새록 느끼게 됩니다. Post American World는 어떻게 전개될까요? 최근의 금융위기도 이러한 큰 흐름에 한 부분이겠지요. 최근의 상황들을 거시적으로 이해하고 생각하는데 도움이 되는 글이라서 연결해 놓습니다. 과연 'The Post-American World'의 저자인 Fareed Zakaria의 이야기처럼 여전히 미국이 강대국으로 남아있을 수 있을까요? Newsweek article: http://www.newsweek.com/id/135380 Newsweek ar.. 2008. 11. 6. 쥐의 뇌세포를 장착한 로봇 안녕하세요. 인공신경망에 대한 참고자료로 올립니다. 영국 레딩대학에서 개발한 실제 뇌세포로 움직이는 로봇에 대한 것입니다. 옛날에 재미있게 보았던 영화 '로봇캅'의 현실이 될지도?^^ 쥐의 뇌세포를 장착한 로봇에 대한 한계레 신문 2008.8.14일자 기사 입니다.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304432.html (Image: Diem Photography/University of Reading) 관련된 YouTube 동영상 입니다. 관련해서 NewSceinntist에 실린 기사 입니다. http://technology.newscientist.com/channel/tech/mg19926696.100-rise-of-the-ratbrained-rob.. 2008. 11. 5. 한국의 기업가정신 - 안철수 KAIST 석좌교수 경영과학회 특강 안녕하세요. 지난 주 금요일(10월 31일) 한국과학기술원 홍릉캠퍼스에서 2008년 한국경영과학회 추계학술대회가 있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2편의 논문 발표도 했고, 조직위원으로 우수논문 심사에도 참여를 했었습니다. 제가 KAIST 석사과정에 입학하기 위해 처음 홍릉캠퍼스를 찾았을 때가 1988년 늦은 가을이었으니 홍릉캠퍼스와의 만남도 벌써 20년이 다 되어갑니다. 전덕빈, 김보원 교수님 등 KAIST 경영대학의 쟁쟁한 교수님들께서 준비를 하셔서 행사는 여느 가을 학회보다 매끄럽고 성대하게 잘 치루어진 것 같습니다. 정기총회 이후에 특강으로 보안프로그램과 안철수 연구소로 유명하신 안철수 KAIST 석좌교수님께서 '한국의 기업가정신(Entereneurship of South Korea)'이라는 제목으로 .. 2008. 11. 3.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